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MERS) 개요 및 예방 안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MERS) 개요중동호흡기증후군(MERS) 이란?중동호흡기증후군(MERS,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은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 감염으로 인한 중증급성호흡기 질환입니다.최근 중동지역 아라비아반도를 중심으로 주로 감염환자가 발생하여 MERS란 이름으로 명명되었으며,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는 과거 사람에게서는 발견되지 않은 새로운 유형의 바이러스입니다.임상적 특성잠복기 : 5일(2~14일) 이내 증상 발생증상 및 징후 : 38℃ 이상의 발열, 호흡기 증상(기침, 호흡곤란 등) 만성질환 혹은 면역기능 저하자 예후 불량치료 : 환자의 증상에 따라 적절한 내과적 치료 시행예방 : 호흡기 증상을 보이는 환자 및 동물(특히, 낙타)과의 접촉을 피하고, 중동지역 여행 시 손 씻기 등의 일반적인 호흡기질환 예방수칙 준수중동호흡기증후군은 어떻게 감염되나요?현재까지 명확한 감염경로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모든 환자들이 직‧ 간접적으로 중동지역과 연관(특히 사우디아라비아)이 있으며, 해외여행이나 해외근무 등으로 중동지역에서 체류하였거나, 낙타 시장 또는 농장 방문, 낙타 체험프로그램 참여 등 낙타와의 접촉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습니다.중동호흡기증후군에 감염되면 어떤 증상을 보이나요?주로 발열을 동반한 호흡기 증상(기침, 호흡곤란, 숨가뿜 등)을 보입니다. 소화기 증상(설사 등)을 보이는 경우도 있으며, 만성질환 혹은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들에게서 폐렴, 급성 신부전 등의 합병증이 동반되어 예후가 좋지 않습니다.중동호흡기증후군의 잠복기는 얼마나 되나요?중동호흡기증후군의 잠복기는 평균 5일(2일~14일) 정도입니다. 즉, 바이러스에 노출된 후 짧게는 2일, 길게는 14일정도 지난 후 증상이 발생하며, 이 때 바이러스가 몸 밖으로 배출될 수 있습니다.* 『호흡기 질환 감염 예방수칙』1. 평상시 손 씻기 등 개인위생 수칙을 준수해주세요(비누와 물 또는 손세정제를 사용하여 손을 자주 씻으세요)2.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경우에는 화장지나 손수건으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세요3. 손으로 눈, 코, 입 만지기를 피해주세요4. 발열 및 기침, 호흡곤란 등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마스크를 쓰시고, 즉시 의료기관에서 진료 받으세요* 주요 증상과 최근 방문 지역을 함께 이야기해주세요5. 발열이나 호흡기 증상이 있는 사람과 밀접한 접촉을 피하세요6. 사람이 많이 붐비는 장소 방문은 가급적 자제해 주세요7. 중동지역 여행(체류) 중 낙타, 박쥐, 염소 등 동물과의 접촉을 삼가해 주세요* 특히, 낙타와의 접촉(낙타 시장 또는 농장 방문, 낙타 체험 프로그램 참여 등)을 피하시고, 익히지 않은 낙타고기, 멸균되지 않은 생낙타유(raw-camel milk) 섭취도 삼가 해주세요8. 중동지역 여행 후 14일 이내에 발열이나 호흡기증상이 있는 경우, 의료기관에서 진료 받으세요.출처: 질병관리본부(http://www.cdc.go.kr)에서 발췌메르스, 꼭 알아야 할 10가지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MERS)가 유행하고 있습니다. 막연한 불안감을 갖기 보다는 개인위생을 청결히 하여 메르스 감염을 예방합시다. 1. (정의) 메르스는 중동에서 발생된 급성 호흡기 감염병으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원인입니다.2. (증상) 발열, 기침, 호흡곤란 등 일반적인 호흡기 증상 외에도 메스꺼움, 구토, 설사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3. (전염) 증상은 감염 후 최소 2일에서 14일 사이에 나타나며,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는 전염력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4. (전파) 일반적으로 2m 이내에서 기침, 재채기를 할 경우 나오는 분비물로 전파됩니다.5. (예방) 자주 비누로 손을 씻고, 씻지 않은 손으로는 눈, 코, 입을 만지지 않아야 하며, 기침할 때는 입과 코를 휴지로 가리고, 발열이나 기침이 있는 사람과는 접촉을 피하여야 합니다. 6. (자가격리) 환자와 밀접한 접촉을 한 경우, 증상이 없더라도 보건소에 연락하고 가족과 주변사람을 위해 접촉일로부터 14일간 자가 격리를 해야 합니다. 7. (진료) 환자와 밀접 접촉을 하였거나, 중동지역을 방문한 후 14일 이내에 메르스 의심 증상이 있으면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8. (진단) 메르스는 가래, 기관지 세척액의 유전자를 검사(RT-PCR)하여 진단합니다.9. (치료) 환자는 증상에 따른 치료를 받게 되며, 중증의 경우에는 인공호흡기, 혈액투석 등 집중 치료를 받습니다. * 증상과 발열이 48시간 이상 없고, 유전자검사 결과가 24시간 간격으로 2회 음성인 경우 퇴원10. (장비) 의료진은 손씻기, 일회용 가운과 장갑, N95 마스크, 눈보호 장비를 갖추어야 합니다. * 출처: 보건복지부(http://www.mw.go.kr) * 복지관 1층 로비에 손소독기가 설치되어 있고, 안내데스크에 체온기가 구비되어 있습니다.메르스(MERS) 증상이 있는 경우, 병원가지 말고 먼저 신고하세요!메르스 확진환자가 발생 및 경유한 병원에서 진료 또는 방문한 적이 있고,메르스 의심증상이 있으신 분은 보건소 긴급 상담전화인 아래전화로 1차 상담 바랍니다.* 영주시보건소: 631-4000* 경상북도 메르스 대책본부 상담전화: 053)950-2378, 2431, 2432, 2445▶ 메르스 핫라인 109 보건복지부 가로가기 ☞ http://www.mw.go.kr/front_new/index.jsp
2015-06-02
운영자